본문 바로가기
경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및 구매처 완벽 가이드

by 해피해피대디 2024. 9. 4.

이번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및 구매처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2024년 9월 3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대폭 확대하기로 발표한 내용을 포함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최신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섬네일

 

 

1.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대폭 확대하기로 한 주요내용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전통시장, 상점가 등 상권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 가맹 제한업종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2024년 9월 3일 밝혔는데요. 이번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전에는 도・소매업 및 용역업에 한정되었던 가맹점 등록이, 이제는 28종의 제한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아래에 해당하는 업종을 영위하고 있는 소상공인도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방앗간, 한복 등 의복제조, 장신구 등 액세서리 제조, 인쇄소 등 소규모 제조업을 영위하는 소상공인
  • 전통시장 및 상점가 내 태권도, 요가, 필라테스 등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학원, 피아노 등 악기교습 학원, 미술학원, 무용학원, 연기학원, 의원, 치과, 한의원, 동물병원, 노래연습장, 법무 및 세무사무소 등

 

2. 온누리상품권 종류

온누리상품권은 처음에 지류로 시작을 하였으나, 신결제방식 확산 등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모바일 상품권 및 카드형 상품권도 도입이 되었습니다.

  • 지류 상품권
  • 카드형 상품권
  • 모바일 상품권

 

3.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아래의 구매처를 통해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지류 상품권 : 16개 은행(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농협은행, 우체국, 새마을금고, 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
  • 모바일 상품권 : 온누리페이 또는 비플페이 앱
  • 카드형 상품권 : 신한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NH농협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KB국민카드

 

※ 참고사항

  • 농협중앙회(농협은행)는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하고 있지만, 지역농・축협은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4. 온누리상품권 구매방법 및 사용방법

온라인상품권 종류에 따른 구매방법 및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류 상품권 : 16개 은행에 방문하여 상품권을 구매한 후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지폐처럼 상품 및 용역대금 지급
  • 모바일 상품권 : 전용 앱(온누리 페이 등)에서 구매(충전) 후, 가맹점에서 QR·바코드로 스캔하여 결제(금액을 이체)
  • 카드형 상품권 : 전용 앱(온누리상품권)에서 구매(충전) 후, 고객이 보유한 신용·체크카드(최대 10개 등록)로 결제

 

5. 온누리상품권 할인율 및 구매한도

 

온라인상품권 종류에 따른 할인율 및 구매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할인율 및 구매한도
지류 상품권 할인율 : 5% / 구매한도 : 월 150만원
모바일 상품권 할인율 : 10% / 구매한도 : 월 200만원
카드형 상품권 할인율 : 10% / 구매한도 : 월 200만원

 

6.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앞서 설명드린 대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는 대폭 확대되었는데요. 기본적인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시장법 상 전통시장, 상점가, 골목형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내 상인
  • 지역상권법 상 자율상권구역 내 상인

 

7.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조회(검색) 방법은?

온누리상품권을 사용처는 아래의 방법으로 조회(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전통시장 통통 홈페이지를 통해 조회 : 홈페이지에 접속 후 "가맹점점포 찾기" 메뉴를 통해 지역, 시장명, 점포명 등을 입력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조회 : 온누리상품권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사용처를 조회할 수 있는데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까운 전통시장을 검색할 수 있으며, 특정 카테고리 또는 상품을 필터링하여 원하는 가맹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장 확인 :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 등록된 점포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알리는 스티커가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직접 확인이 가능합니다.

 

8. 온누리 상품권 개정안

2024년 9월 3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새롭게 발표한 온누리상품권 개정안에는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대폭 확대 이외에도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선, 정부가 지난 8월 28일 발표한 "2024년 소상공인 추석 민생안정대책"에 따라, 9월 한 달 동안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할인을 상향하여 판매하기로 했는데요. 할인율은 기존 10%에서 5%p 늘어난 15%입니다. 다만, 월 할인구매한도 200만원입니다.

 

이번 온누리상품권 특별할인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 등록할 수 있게 된 소상공인 분들은 종전보다 매출 증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두 번째로 , 중소벤처기업부는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 확대와 더불어, 아래와 같이 부정유통 방지 대책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 전통시장 상인회 등과 함께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예방 교육을 실시
  • 부정유통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FDS)을 고도화 등

 

9. 결론 및 추가 정보 안내

이번 글에서는 온라인상품권 사용처 및 구매처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봤는데요. 이 글을 마치면서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아래에 첨부해 드렸으니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